경기도 지방공무원 제1·2·3회 경력경쟁 임용시험의 접수는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s://local.gosi.go.kr)을 통하여 접수 가능하며, 응시수수료가 5,000원 / 7,000원 결제됩니다.
1. 접수방법 :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s://local.gosi.go.kr) 온라인 접수 2. 접수시간 : 각 시험별 접수기간 내 24시간 접수 가능(시작일 09시부터 마감일 18시까지) 3. 응시수수료 : (연구사·지도사·7급) 7,000원 / (8·9급) 5,000원 및 일부 수수료 등
시험방법
경기도 지방공무원 제1·2회 경력경쟁 임용시험의 경우 각각 1·2차 시험을 병합으로 실시합니다.
문제 유형은 선택형 필기시험으로 과목별 20문제가 출제되고 4지택1형입니다.
시험시간은 과목별 20분으로 산정하여 3과목을 응시하는 연구·지도사·7급 등은 60분, 2과목에 응시하는 8·9급 등은 40분입니다. 예외적으로 기록연구사의 경우 6과목을 응시하므로 시험시간은 총 120분입니다.
1. 응시과목이 2과목인 경우(8·9급 등) : 40분(10:00~10:40) 2. 응시과목이 3과목인 경우(연구·지도사·7급 등) : 60분(10:00~11:00) 3. 응시과목이 6과목인 경우(기록연구사 등) : 120분(10:00~12:00)
참고로 제3차 시험은 서류전형으로 응시자격 요건의 적합성(자격·경력 등)을 심사하게 되며, 제4차 시험은 면접시험으로 해당 직무 수행에 필요한 능력 및 적격성을 검정합니다.
응시자격
응시연령
1. 연구·지도사·7급 : 20세 이상(2001.12.3.1 이전 출생자) 2. 8·9급 : 18세 이상(2003.12.31. 이전 출생자)
응시에 필요한 자격요건
응시에 필요한 자격요건의 경우 해당 직렬과 직류(분야)에 따라 공고문에 자세히 나와있으므로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통상 해당 직렬과 직류(분야)와 관련한 전공 학위를 취득하였거나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여야 합니다.
거주지 제한
지방공무원 채용 시험이 국가공무원(국가직공무원)과 가장 다른 부분이 바로 이 거주지 제한입니다. 경기도 지방공무원 채용시험의 경우 아래 두 경우 중 한 경우에 해당하는 사람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1. 지방공무원 시험의 경우 대부분 해당 연도 이전(2022년 1월 1일 이전)부터 최종 시험예정일(면접시험 최종예정일)까지 계속하여 경기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있는 경우 2. 2022년 1월 1일 이전까지 경기도에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두고 있던 기간이 모두 합산하여 총 3년 이상인 경우
단, 연구사·수의 7급·환경 8급(수질) 및 해양수산 9급은 거주지 제한 요건이 없으며, 제3회 경력경쟁임용시험(기술계고)의 전 직렬은 학교 소재지/응시자의 거주지가 한 곳이라도 경기도인 경우 응시가 가능합니다.
직류별 선발인원 및 시험과목
제1·2·3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에서 선발 예정인 인원은 총 342명으로 전년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제1회 경력경쟁임용시험에서는 연구사(기록연구, 환경연구), 8급(의료기술, 환경), 9급(보건, 식품위생, 의료기술, 환경) 직렬 등 총 130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제2회 경력경쟁임용시험에서는 연구사(학예연구, 농업연구, 수의연구), 지도사(농촌지도), 7급(수의), 9급(해양수산, 시설, 시설관리, 운전) 직렬 등 총 141명을 선발할 예정이며, 제3회 경력경쟁임용시험에서는 9급(공업, 농업, 시설, 방송통신) 직렬 등 총 71명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각 직류별 세부 선발인원 및 시험과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산점 적용
제1·2·3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에서는 취업지원대상자, 의사상자 및 가산점 자격증 소지자에 대해 가산점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가산비율은 각 가산항목 구분에 따라 3~10%를 적용하므로 본인이 이에 해당하는 경우 필기시험 시행일을 포함한 4일 이내에 지방자치단체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s://local.gosi.go.kr)에 자격증 정보 등을 등록하여 불이익이 없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이렇게 제1·2·3회 경기도 지방공무원 경력경쟁임용시험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지방공무원은 국가공무원과 달리 정해진 지역 내에서 순환근무를 하게 되므로 비교적 가정생활에 유리한 특성이 있습니다. 요즘 MZ 세대의 경우 국가공무원에 비해 지방공무원을 선호하는 것 또한 이러한 특성 때문이라 생각되는데, 만약 지금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계시다면 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 그리고 각 직렬별 업무 특성 등을 본인의 성향과 잘 맞춰보고 기왕 준비하는 공무원 시험, 합격 후에도 만족할만한 공무원 생활을 그리며 준비하시기 바랍니다.